Framework(Spring)
[Framework] DI (Dependency Injection)
8기_이지정
2024. 7. 9. 14:08
DI (Dependency Injection)
- IoC(Inversion of Control)란, 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객체에 대한 생성, 변경 등의 관리를 개발자가 아닌 컨테이너에서 직접 관리하는 것
- 스프링은 IoC 구조를 통해 구동 시 필요한 객체의 생성부터 소멸까지 해당 객체에 대한 관리를 직접 수행
- 스프링에서 관리하는 객체를 빈(Bean)이라고 하고, 해당 빈들을 관리한다는 의미로 컨테이너를 빈 팩토리(Bean Factory)라고 함
- 객체(Bean)의 생명주기와 의존성을 관리
- 객체(Bean)의 생성, 초기화, 소멸 등의 처리를 담당
-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생성할 수 있지만 해당 권한을 컨테이너에 맡김으로써 소스 코드 구현의 시간을 단축 가
-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(Application Context)는 빈 팩토리(BeanFactory)를 확장한 IoC 컨테이너로 빈(Bean)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은 빈 팩토리(BeanFactory)와 동일하지만 스프링이 제공하는 각종 부가적인 서비스를 추가 제공
- DI(Dependency Injection)란 하나의 객체가 사용하는(의존하는) 다른 객체를 외부에서 생성하고 주입받아 사용하는 것
- 객체를 주입받는 방법으로는 메소드를 통한 의존성 주입 방법과 생성자를 통한 의존성 주입 방법이 존재
- 스프링에서는 컨테이너가 설정 정보를 읽어와서 자동으로 객체들의 의존 관계를 주입
-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받게 되면 유지 보수가 편해지고 개발자가 작성해야 할 코드가 단순해지며 객체 간의 종속 관계(결합도)를 해소 가능
- 스프링은 객체들의 의존 관계를 연결할 수 있는 3가지의 설정 방법을 제공
- 스프링 컨테이너 구동 시 생성해야 하는 객체(Bean)들과 의존 관계를 XML 파일로 작성하는 방식
- <beans> 요소는 최상위 요소로 하위 요소들로 다양한 스프링 설정 가능(DI, AOP, Transaction 등)
- <bean> 요소는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할 빈을 선언하는 요소
<beans>
<bean id="student" class="com.ismoon.spring.person.model.vo.Student"/>
</beans>
- Setter 메소드를 통해 의존 관계가 있는 빈을 주입하려면 <property> 요소를 사용(단, 일치하는 Setter 메소드가 있어야 됨)
<beans>
<bean id="student" class="com.ismoon.spring.person.model.vo.Student">
<property name="name" value="홍길동"/>
<property name="wallet" ref="money"/>
</bean>
<bean id="money" class="com.ismoon.spring.wallet.model.vo.Wallet" />
</beans>
- 생성자를 통해 의존 관계가 있는 빈을 주입하려면 <constructor-arg> 요소를 사용(단, 일치하는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가 있어야 됨)
<beans>
<bean id="student" class="com.ismoon.spring.person.model.vo.Student">
<constructor-arg name="name" value="홍길동"/>
<constructor-arg name="wallet" ref="money"/>
</bean>
<bean id="money" class="com.ismoon.spring.wallet.model.vo.Wallet" />
</beans>
- <import> 요소를 사용하여 다른 XML 설정을 가져올 수 있음
<beans>
<import resource="config.xml"/>
</beans>
3.2. Java 방식
- 스프링 컨테이너 구동 시 생성해야 하는 객체(Bean)들과 의존 관계를 Java 파일로 작성하는 방식
-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바 파일을 설정 파일로 식별하기 위해서는 @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클래스에 작성해야 함
@Configuration
public class JavaConfig {
}
- 자바 파일에서 빈을 선언하기 위해서는 객체를 리턴하는 메소드를 만들고 @Bean 어노테이션을 메소드에 작성해야 함
@Configuration
public class JavaConfig {
@Bean
public Student student() {
return new Student();
}
}
- Setter 메소드를 통해 의존 관계가 있는 빈을 주입 가능
@Configuration
public class JavaConfig {
@Bean
public Student student() {
Student student = new Student();
student.setName("홍길동");
student.setWallet(wallet());
return student;
}
@Bean
public Wallet wallet() {
return new Wallet();
}
}
- 생성자를 통해 의존 관계가 있는 빈을 주입 가능
@Configuration
public class JavaConfig {
@Bean
public Student student() {
return new Student("홍길동", wallet());
}
@Bean
public Wallet wallet() {
return new Wallet();
}
}
- @Impor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다른 Java 설정 파일을 가져오는 것이 가능
@Configuration
@Import(Config.class)
public class JavaConfig {
}
- 스프링 컨테이너 구동 시 생성해야 하는 객체(Bean)들과 의존 관계를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방식
- 어노테이션으로 빈을 선언하기 위해서는 빈으로 생성하고 싶은 클래스에 @Component을 작성해야 함
@Component
@Data
@NoArgsConstructor
@AllArgsConstructor
public class Student {
private String name;
private Wallet wallet;
}
- @Component 어노테이션이 작성된 클래스를 빈으로 생성하기 위해서는 컴포넌트 스캐닝(Component Scannig)을 통해서 스프링 컨테이너 구동 시 해당 클래스를 찾아 빈으로 등록하도록 설정해야 함
<!-- XML 방식 -->
<beans>
<context:component-scan base-package="com.ismoon.spring" />
</beans>
// Java 방식
@Configuration
@ComponentScan("com.ismoon.spring")
public class JavaConfig {
}
- @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을 찾아 자동으로 의존성 주입 가능
- @Autowired 어노테이션은 필드, 메소드, 생성자에 적용 가능
- @Valu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빈이 아닌 값을 주입 가능
@Component
@Data
@NoArgsConstructor
@AllArgsConstructor
public class Student {
@Value("홍길동")
private String name;
@Autowired
private Wallet wallet;
}